본문 바로가기
대출 정보

코픽스 사상 최저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하락할까?

by tmdgus3828 2020. 8. 20.
반응형

 

오늘은 뉴스나 은행에서 많이 인용되는 코픽스의 개념과 앞으로의 금리 방향성에 대해 살펴볼려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대출을 받을 때 금리라고만 들어보았지 금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 계셨을 겁니다. 그래서 대표적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시 기준이 되는 코픽스 뜻과 개념을 가지고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출처 : 네이버뉴스

20년 18일자 기사를 보면 코픽스 지수가 사상 최저를 기록하며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하락을 예상하는 기사가 많이 보이는데요.

코픽스 지수가 지난달 7월 부터 0%대에 진입한 이래로 이번달 8월 또 다시 한번 하락을 하며 0.81%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금리가 내리면 내렸지 왜 코픽스를 기준으로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예상하는지 연관성을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기준 / 네이버 증권정보

코픽스(COFIX)는 쉽게 말하면 시중은행이 변동금리 주담대 대출 금리에 기준이 되는 지수인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뜻을 말씀드리면 시중은행들의 자금조달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 Cost of funds Index를 줄여 COFIX라고 부르는데요

사진에서 보듯이 지난 5년간 최고치는 2.05%였으며, 최근 0.81%까지 떨어지며 최저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보통 지금까진 코픽스 금리가 하락하면 주담대 금리도 같이 떨어지는게 일반적인 경우였습니다.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더불어 코픽스는 잔액이나 기간에 따라 크게 신규취급잔액 / 잔액기준 / 신잔액기준 / 단기 코픽스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보통 뉴스나 은행에서 인용되는 코픽스는 신규취급잔액 기준이며 매월 공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동금리 주담대의 경우 받는 기간에 따라 금리가 달라질 수 있게 되는것인데요.

그 이유는 은행 대출 금리 구조를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시중은행에서 대출금리의 기준은 위의 사진처럼 표현할 수 있는데요. 내용이 너무 많은데 정리를 해드리면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금리=최종대출금리

이와 같은 구조로 대출금리가 책정이 되는데요.

여기서 코픽스 지수는 기준금리의 기준이 되고, 가산금리는 은행마다 업무원가, 리스크프리미엄, 신용프리미엄 등이 반영되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코픽스 지수가 떨어지더라도 은행마다 가산금리와 우대금리가 다르기 때문에 금리가 더 낮거나 높은 현상이 발생하는 건데요. 일반적으로는 코픽스 금리가 대출금리에 연동되기 때문에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주택담보대출별 금리를 조회해보았는데요.

아직 20년 6월 중 취급된 대출을 기준이라 현재보단 좀 더 높은 금리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더불어 참고자료로만 보시면 좋은게 개인신용이나 우대금리 등에 따라 대출금리가 많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출처 : 전국은행연합회

앞서 설명드렸던 대출 금리 구조를 분석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 등이 포함되어 은행의 금리가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은행에서 대출받으실 때 금리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적절한 시기에 좋은 대출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대출금리에 관한 글이다 보니 대출 상황방식에 대한 소개글도 남겨두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