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출 정보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주택도시기금) 알아보기

by tmdgus3828 2020. 8. 20.
반응형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1. 대출 대상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 2019년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또는 최근 12개월치 급여를 합한 금액 중 선택

- 순자산가액 2.88억원 이하

- 대출접수일 현재 무주택 단독 세대주 (예비세대주 포함)

-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 지불한 자

- 주택도시기금대출(아래 참고), 은행재원 전세자금대출 및 주택담보대출 미이용자

2. 대출 금리 : 연 1.8%~2.4%

* 8/10 이후 1.5~2.1%로 인하 예정

3. 대출 한도 : 보증금 7천만원 / 지원한도 5천만원 이내 (임차보증금의 80% 이내)

* 8/10 이후 보증금 1억원 / 지원한도 7천만원으로 확대 예정

4. 대출 기간 : 최초 2년 (4회 연장하여 최장 10년 이용가능)

5. 신청시기 : 임대차계약서상 잔금지급일, 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

6. 대상 주택 : 전용면적 85㎡ 이하(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7. 상환 방법 : 일시상환, 혼합상환

8. 대출취급영업점 : 임차대상주택이 소재한 도내 영업점

9. 중도상환수수료 : 없음

10. 유의사항 : 대출 취급 후 주택취득(등기)이 확인된 경우 대출금 즉시 상환해야 함 (버팀목전세자금대출도 동일함)

* 문의결과 : '등기'를 쳤는지가 기준. 본인 소유의 주택 등기를 치면 전세금대출을 즉시 상환해야 함. 분양권의 경우 준공 후 등기 치기 전에는 상관 없음. 입주권의 경우 멸실 전 주택을 구입 할때에는 등기를 쳐야 하니 즉시 상환해야 하고, 멸실 후 주택을 구입할 때는 토지로 거래를 되니 상관 없음. 단, 순자산액이 2.88억이 넘어갈 경우, 연장이 영향이 있음.

* 전세자금대출 신청자의 경우 분양권 및 조합원 입주권은 주택으로 산정하지 않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