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출 후기

보금자리론 대출 문의 드립니다. (신혼부부)

by tmdgus3828 2020. 8. 19.
반응형

① 매수 주택의 아파트 여부,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 여부, 소재한 도시, 신축(신규분양) 여부, 1층여부

* 매구 주택은 6억원 이하 아파트

* 전용면적은 84제곱미터

* 도시는 광주광역시로 투기과열지역이 아닙니다.

* 신축으로 5월 29일부터 입주 가능합니다.

* 1층이 아닙니다.

 

② 매수 주택의 매매가(신규분양 아파트는 분양가/확장비/프리미엄), KB시세, 한국감정원시세

* 분양가는 315,000,000

* 확장비는 14,900,000

* 프리미엄은 증여로 인하여 전매계약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검색 결과 프리미엄은 70,000,000으로 확인하였습니다.)

 

③ 부부 합산 소득금액 및 소득종류(4대 보험 일반 근로소득, 자영업 사업소득, 프리랜서 사업소득, 일용근로소득)

   ☞ 근로소득자인 경우 현 직장 최근연도 2개년 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상의 금액을 알려주세요.

  ☞ 개인사업자, 프리랜서의 경우 최근 연도 2개년 치 (종합소득세신고자용)소득금액증명 상의 금액을 알려주세요(홈텍스).

   ☞ 근로소득자 또는 프리랜서인 경우 현직장 입사연도를 꼭 알려 주세요.

   ☞ 자영업자인 경우 사업자등록증 개설 연도를 꼭 알려 주세요.

  ☞ 증빙소득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 매월 내는 지역건강보험료(장기요양제외 순수 건보료), 지역국민연금보험료를 알려 주세요.

       - 부부 각자 건보료, 국민연금보험료를 내는 경우엔 각자 얼마 내는지 알려주세요.

 

 

4대 보험 일반 근로소득

- 부부합산

* 2018년 소득 금액 : 52,485,681

* 2019년 소득 금액 : 61,607,200

* 현직장 입사연도 : 2014, 2018년

 

④ 희망 대출 금액

* 보금자리론으로 대출 예정이므로 분양가의 70% : 220,500,000 이지만, 백단위로 대출 신청이 가능하므로 220,000,000 입니다.

 

⑤ 부부합산 기존 대출 및 신용등급

 

    ☞ 기존 대출 총액(상환대상 전세대출/중도금대출, 예적금 담보대출, 보험약관대출, 주택담보대출은 구분)

 

 

    ☞ 기존 대출 중 버팀목, (구)근로자서민전세대출 등 주택도시기금 전세대출 보유 여부

    ☞ 한국신용정보원, 나이스, KCB(올크레딧) 싸이트에 연체이력이 기록된 게 있는지 여부(특히 최근 1년 내의 연체 이력이 중요)

 

*기존 대출은 없습니다.

* 연체이력 없습니다.

 

⑥ 세대주/세대원 현황 및 무주택 여부

 

 

   ☞ 본인 세대주 여부(미혼세대주는 만 30세 이상 여부) 및 미성년 자녀수

   ☞ 세대주/세대원 전원 무주택  여부 및 주택 보유 이력 여부

    ☞ 세대주/세대원인 부모님께서 주택보 유 이력 있다면 만 60세 이상 여부

* 올해 6월 결혼 예정인 미혼입니다.

* 본인, 배우자 될 사람도 무주택 입니다.

* 둘 다 세대주가 부모님이며, 현재 자가 주택 1채 보유중이며, 본인 부모님은 만 60세 미만이며 배우자 부모님은 만 60세 이상입니다.

 

⑦ 신혼부부 여부

* 3개월 이내 결혼 예정인 신혼 부부 입니다.

 

⑧ 희망 대출 기간(=상환기간=대출만기)

* 30년 대출 기간을 원합니다.

 

⑨ 대출 희망 시기(=잔금일=대출실행일)

* 2020년 06월 02일을 희망합니다.

 

⑩ 청약저축 보유 여부, 가입기간/납입회차

* 본인 : 청약저축 보유 O ,가입시기 : 2015.03.10 , 납입회차 : 61회차

 

--------------------------------------------------------------------

안녕하세요. 위원장님!

 

올해 6월 결혼 예정인 신혼부부이며, 6월 신축아파트 입주 예정입니다.

 

신축 아파트로 입주 지정일을 6월 2일로 지정하여 신혼부부 금리 적용하여 보금자리론을 받으려고 합니다.

 

디딤돌대출은 분양권을 부모님께 증여로 받아서, 대출대상에서 제외가 되어 보금자리론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아무리 공부를 해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되는 부분이 있어서 상담 받고 싶습니다.

 

우선 분양가의 70% (220,000,000)을 보금자리론으로 대출 받으려고 합니다.

 

대출 상환방식은 체감식, 원리금 균등분할, 체증식 이렇게 3가지가 있고, 각각의 상환방식 장단점도 다 파악 하였습니다.

 

신혼부부이고, 아이가 없을 때 원금을 많이 상환하는게 좋을꺼 같다는 생각과 이자가 제일 적다는 장점을 보고

 

체감식으로 해야지 하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런데, 체증식에 대하여 찾아보니 30년 뒤 200만원과 지금의 200만원 화폐 가치를 말씀하시면서, 무조건 체증식이 유리하다고 말씀 하시더라구요.

 

대출자에게 유리하니까, 시중 은행에서는 체증식이라는 대출상환 방식을 뺐다면서, 왜 제외했겠냐고 하시는데..

 

* 금일 기준으로 체감식, 체증식 상환 조회 결과 입니다.

 

 

대출 상환방식은 개인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는걸 너무 잘 알고 싶지만, 위원장님께 상담 받고자합니다.

우선 현재 맞벌이 중이며, 아기가 없는 상황에서 충분히 대출금 상환하면서, 생활 할 수 있는 정도입니다.

아이가 추후에 생기면 1년간은 육아휴직으로 인해 외벌이가 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 초기 원리금이 높은 체감식을 해서, 아이가 없는 시기에 많이 상환 하는게 좋을지

 체증식을 해서, 초기에 원리금이 낮게 하여 원리금 이외의 돈을 모아서 중도상환을 하는게 좋을지

 3년의 기간이 끝나고 나면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보금 자리론 중도상환수수료는 1.5%입니다. 보금자리론 금리(신혼부부이율, 안심주머니우대금리 적용)는 대출 기간 30년 시 2.23%입니다. 중도상환 수수료를 물더라도, 3년 기간을 기다리는 것 보다, 중간중간 중도상환을 하는게 더 좋은건지

 중도상환을 하는게 더 좋다면, 슬라이딩 방식이 적용이 되는데, 매달 계속 중도상환을 하는게 좋은건지 아니면 1년 단위로 하는게 좋은건지

 

어떤 상환방식을 해야할지 너무 갈피를 못잡고 있습니다.

위원장님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반응형

댓글